본문 바로가기

통계상식

통계를 배워야 하는 이유

우리가 뉴스를 보거나 전자매체를 보면서 수치화되는 글을 정말 많이 보셨을 텐데요. 주택 구입률, 질환 이환률 등등,, 우리 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계는 사실 알면 알수록 이론이 너무 어렵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학을 배워야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마 객관적인 자료를 얻어내 일반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많이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통계를 보다 재미있게 하기 위해 예시를 들며, 어떤 용어를 쓰는지 한번 알아볼게요.

 

더보기

목차

1. 통계예시

2. 모집단

3. 모집단 추출하는 방법

 

통계 예시

통계를 우리 일상생활에서 접목시켜볼게요. 예를 들어 고혈압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 A와 B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내가 만약 제약회사의 연구원이라면 A와 B 중에 효과가 좋은 것을 연구하고 보고할 텐데요. 이럴 때 사전조사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임상환자 모집공고를 내고, 고혈압 환자를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약물을 투여한 후의 그 치료정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모집단

이때, 모집단의 개념이 사용됩니다. 모집단은 우리가 테스트하려는 객채, 대상 등등 실험하고자 하는 모든 대상이 됩니다. 즉, 위에서 예시를 들은 고혈압 환자가 모집단이 되는것이죠. 모집단(고혈압 환자) 안에서 생활습관 혹은 키, 몸무게 모두 다를 것인데, 이렇게 측정하는 것을 측정치의 모집단이 되는 것이랍니다. 모집단의 경우 나눠볼 수 있는 종류는 2가지가 있습니다. Finite population이라고 하는 유한모집단과 infinite population이라고 하는 무한모집단이 있습니다.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 모집단이 셀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객체는 유한모집단이라고 하고,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있다면 무한모집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모집단을 추출하는 방법

모집단을 분석하고 추출하는 방법은 계통추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계통추출은 비슷한 종류끼리 추출하여 분석을 하는 방법인데요. 단순 확률 추출은 연구단위의 각각을 확률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활용이 되지만, 모집단을 리스트업과 같이 목록을 작성한 다음 일련번호에 따라 체계적으로 그룹핑을 하여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모집단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주의해야할 점이 있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시작번호인데요. 시작번호는 단순 확률추출과 같이 확률수표를 활용하여 추출을 해야 됩니다. 단어가 어려워서 무슨 말뜻인지 사실 어려울 수도 있는데요.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볼게요. 연구 모집을 해야 되는 인원 총 200개인 실험에서 10명만 추출해서 실험을 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20명당 1명씩을 추출해야 되므로, 일련번호는 20 미만이어야 합니다.

'통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치와 신뢰구간  (0) 2023.07.30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  (0) 2023.07.30
자유도의 개념과 신뢰구간  (0) 2023.04.09
비확률표본 추출방법 알아보기  (0) 2023.04.01